[UE] ViewBinding 문제 해결 (The field for source 'OO' exists but is not accessible at runtime.)

The field for source 'OO' exists but is not accessible at runtime. 이라는 문구가 뜨면 위젯에서 컴파일이 되지 않는다. ViewBinding이 실패하면서 나오는 에러 문구다.
목차
ViewBinding 문제 해결
문제 상황
아래와 같은 Compile Error가 뜨면서 View Binding이 되지 않는다.
The field for source 'TabPcMail' exists but is not accessible at runtime.
[0368.75] Compile of WBP_위젯이름 failed. 1 Fatal Issue(s) 0 Warning(s) [in 198 ms] (/Game/ 경로 )


수정 전 코드
#pragma once #include "CoreMinimal.h" #include "UMailTabWidget.generated.h" UCLASS() class UMailTabWidget : public UUserWidget { GENERATED_BODY() protected: virtual void NativeOnInitialized() override; private: UPROPERTY(Meta = (BindWidget)) TObjectPtr<UButton> TabPcMail; };
해결 방안
#pragma once #include "CoreMinimal.h" #include "UMailTabWidget.generated.h" UCLASS() class UMailTabWidget : public UUserWidget { GENERATED_BODY() protected: virtual void NativeOnInitialized() override; private: UPROPERTY(BlueprintReadWrite, Meta = (BindWidget, AllowPrivateAccess)) TObjectPtr<UButton> TabPcMail; };
BlueprintReadWrite을 적어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 Unreal Engine > UE Debugging 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UE] TSoftObjectPtr, TSoftClassPtr의 Valid 체크 (IsNull 사용) (0) | 2025.01.14 |
---|---|
[UE] TObjectPtr을 SoftObjectPath로 만들기 (0) | 2025.01.13 |
SpawnActor (스폰을 지연시키는 방법) (0) | 2024.12.15 |
[UE] Build.cs에서 빠진게 있어 빌드가 안 되는 경우 (0) | 2024.10.08 |
[UE] Shipping 모드에서 디버깅하기 (0) | 2024.10.02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UE] TSoftObjectPtr, TSoftClassPtr의 Valid 체크 (IsNull 사용)
[UE] TSoftObjectPtr, TSoftClassPtr의 Valid 체크 (IsNull 사용)
2025.01.14 -
[UE] TObjectPtr을 SoftObjectPath로 만들기
[UE] TObjectPtr을 SoftObjectPath로 만들기
2025.01.13 -
SpawnActor (스폰을 지연시키는 방법)
SpawnActor (스폰을 지연시키는 방법)
2024.12.15 -
[UE] Build.cs에서 빠진게 있어 빌드가 안 되는 경우
[UE] Build.cs에서 빠진게 있어 빌드가 안 되는 경우
2024.10.08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